본문 바로가기

내가관심있는심리학22

이상심리학_ 불안 장애 ② 2. 특정공포증① 특정공포증 주요증상과 임상적 특징 공포증은 어떤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강렬한 공포와 회피행동을 뜻한다. 범불안장애보다 훨씬 심한 강도의 불안과 두려움을 경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황에서 만성적인 불안이 아닌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에 한정된 공포와 회피행동이다. 주요증상으로 A.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비행, 높은 곳, 동물, 주사 맞기, 피를 보는 것)에 대한 현저한 공포나 불안을 경험한다. 아동의 경우에는 공포나 불안이 울기, 떼쓰기, 얼어붙기, 칭얼거리기로 표현할 수 있다. B. 공포를 유발하는 대상이나 상황에 노출되면 거의 예의 없이 즉각적인 공포반응이 유발된다. C. 특정공포증을 지닌 사람은 공포를 느끼는 대상과 상황을 회피하려고 한다. D.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에 의한 실제적인.. 2024. 5. 12.
이상심리학_ 불안 장애 ① 불안은 누구에게나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부정적인 감정이다. 예를 들면 뱀이나 무서운 동물을 만나게 되거나 알지 못하는 길을 떠날 때, 사람들 앞에서 발표해야 하거나 중요한 시험을 앞두는 경우 등등 우리는 긴장을 하면서 두려워한다. 이러한 부정적인 결과를 나오지 않도록 긴장감을 가지면서 행동한다. 이러한 긴장한 상황에서 벗어나게 되면 긴장이 풀리면서 편안한 기분으로 되돌아가기도 하고, 안도감, 긴장하면서 못 느꼈던 졸음, 신체 아픔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일상생활에서 불안이 너무 크지 않으면 우리 삶의 자연스러운 상황이며, 이러한 심리적 반응을 정상적인 불안이라고 한다. 이렇게 불안을 통해 대비하는 등 안전을 위해 도움이 되지만, 과도하게 민감하게 긴장하는 경우 몸이 힘들어한다. 이처럼 불안 반응이.. 2024. 5. 12.
이상심리 ④ 이상심리학의 기본적 이해 2013년 개정된 DSM-5에는 20개 범주에 속하는 350여 개의 정신장애가 소개되고 있다. \DSM-5의 개정 내용으로는1. 개정판 숫자의 변경으로 개정판의 순서를 로마자에서 숫자로 표기했다. DSM-Ⅴ 에서 DSM-5 변경2. DSM-Ⅳ의 다축 진단 체계 폐기 _ 다축진단체계가 실제 임상 현장에서 유용하지 못하고 객관성과 타당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으로 폐지하였다.3. 유전학, 신경 영상학 등 최신 연구 결과를 통합시켰다.4. 차원적 평가의 도입으로 범주적 분류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차원적 평가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하이브리드 모델을 제안하였다.5. 강박장애와 외상후스트레스장애가 불안장애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장애 범주로 분류되었다.6. 우울장애와 양극성 장애가 기분장애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장애 범주로 .. 2024. 5. 10.
이상심리 ③ 이상심리학의 기본적 이해 이상심리학의 기초 _ 권석만(2014) 저서 이상심리학의 이론적 입장현대의 이상심리학에는 이상행동의 원인을 설명하는 두 가지 입장, 즉 심리적 원인론과 신체적 원인론이 존재한다. 심리적 원인론에는 정신분석 이론과 인지행동이론이 있다. 반면, 신체적 원인론에는 유전적 요인, 뇌의 구조적 결함. 뇌의 생화학적 이상 등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생물학적 이론이 있다. (권석만, 2012, 2013) 1. 정신분석적 입장정신분석 이론은 이상행동을 심리적 원인에 의해 설명하는 최초의 체계적 이론이라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를 지닌다. 정신분석적 입장은 이상행동의 근원적 원인을 어린 시절의 경험에 그 뿌리를 둔 무의식적 갈등으로 설명한다. 프로이트의 삼원구조이론을 제시하면서 인간의 성격은 원초적 욕구로 구성된 원초아(id).. 2024.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