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가관심있는심리학

행동주의 주요이론 ①

by 한손가이드 2024. 5. 5.

이반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古典的 條件 形成 러시아의 생리학자 이반 파블로프가 개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이를 처음으로 증명하였다. 그의 이런 연구는 마음이란 물질이 아니기에 과학적 연구대상이 될 수 없다고 본 19세기 후반 학계의 지배적 사고를 바꾸어 놓았고, 심리학이 철학에서 분화되어 독립적인 학문적 체계를 구축하는데 일조하였으며, 행동주의 심리학에도 영향을 주었다.

특정 반응을 끌어내지 못하던 자극이(중성 자극) 그 반응을 무조건적으로 끌어내는 자극(무조건자극)과 반복적으로 연합되면서 그 반응을 유발하게끔 하는 과정을 말한다. 특정 자극에 대해 무의식적으로 반응하는 현상 중에서 그에 상응한 반응이 선천적인 본능과는 관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을 통해 조건반사 반응이 새롭게 형성될 수 있다는 사실을 말한다.

 

벌루스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는 어떤 반응에 대해 선택적으로 보상함으로써 그 반응이 일어날 확률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앞서 말한 선택적 보상이란 강화와 벌을 의미한다. 조작적 조건화는 작동적 조건화, 도구적 조건화라고도 불린다. 고전적 조건화처럼 인간의 반사적 행동을 학습으로 조건화되었듯이 반사적이지 않은 다른 행동들도 조건화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 이론은 심리학자인 버러스 스키너에 의해 널리 알려졌는데 그는 사전에 원했던 행동을 했을 때 그 대가로 체계적인 보상을 줌으로써 동물들에게 재주, , 탁구를 가르쳐서 조작적 조건화의 효과를 입증했다.

특정 행동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요즘 광고와 마케팅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조작적 조건화의 창시자인 버러스 프레더릭 스키너는 미국의 심리학자이며, 행동주의 심리학으로 교육과 심리학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대학원생 시절에 조작적 조건화를 실험하는 스키너의 상자와 누가기록이기도 만들었다. 스키너 상자는 손다이크의 퍼즐 상자와 비교되는 중요한 실험 과정을 보여준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그가 부가적으로 사용한 스키너 상자의 누가반응기록지 방법은 조작적 조건형성이라는 연구 이론에서뿐만 아니라 동물행동학, 생리심리학 등 넓게 그 영향을 끼쳤다. 또한 심리학에 있어 연관된 변수에 의한 반응률에 대한 연구를 발전시켰다. 그가 또한 주창한 강화이론에 대해 이론을 만들어 내기 위해 행동의 반응률을 측정하는 누적합산기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1958년부터 1974년 은퇴할 때까지 심리학자 교수였다. 스키너가 사망하기 직전에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심리학사를 연구하는 학자와 대학원 심리학과 학과장들을 대상으로 10명의 가장 유명한(동시대와 전 심리학사를 통틀어) 심리학자의 서열을 매기게 하였다. 이 설문조사에서 스키너는 전 심리학사를 통틀어서는 8위에, 그리고 동시대의 심리학자 중에서는 1위에 올랐다.

 

스키너가 만든 연구 중 가장 큰 영향을 준 스키너 상자는 빈 상자 안에 지렛대가 하나 들어 있으며, 이 지렛대는 먹이통과 연결되어 있어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나오도록 만들어졌다. 이 상자를 가지고 조작적 조건형성을 실험했는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배고픈 상태의 흰 쥐를 스키너 상자에 넣는다.

2. 이렇게 배고픈 상태로 만드는 것을 박탈이라고 한다.

3. 흰 쥐는 스키너 상자 안에서 돌아다니다가 우연히 지렛대를 누르게 된다.

4. 지렛대를 누르자 먹이가 나온다.

5. 지렛대와 먹이 간의 상관관계를 알지 못하는 쥐는 다시 상자 안을 돌아다닌다.

6. 다시 우연히 지렛대를 누른 흰 쥐는 또 먹이가 나오는 것을 보고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을 자주 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흰 쥐는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나온다는 사실을 학습하게 된다.

위의 실험에서 흰 쥐가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은 먹이에 의해 강화된 것이다. 만약 지렛대를 눌렀을 때 먹이가 나오지 않았다면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을 학습하지 못했을 것이다. 이렇게 어떤 행동을 한 뒤에 유기체가 원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강화라고 한다. 고전적 조건화에서는 강화를 조건화의 과정에서 무조건자극을 부여하는 것으로 명명했지만 조작적 조건화에서는 조건화의 과정에서 부여하는 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쓰는 것이다. 조작적 조건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강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스키너의 상자뿐만 아니라 많은 요인이 만들어지는데 그 중 반응행동과 조작 행동부터 배워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반응행동은 고전적 조건화에서 사용된 반응과 같이 자극에 의해 직접적으로 유발된 반응으로 침을 흘리는 행동이나 동공의 수축, 무릎 반사 등이 이에 속한다. 반면에 조작 행동은 어떤 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일어나는 행동, 혹은 어떤 자극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무엇인지 알 수 없었던 경우의 행동을 말한다. 스키너는 외부적 자극에 초점을 맞춘 고전적 조건화를 S(Stimulus)형 조건화라고 칭하면서 조작에 관심을 가진 조작적 조건화를 R(Response)형 조건화라고 구분하기도 했다.

조작 행동은 어떤 유기체가 능동적으로 환경에 작용을 가하는 행동을 말한다. 조작 행동으로 형성되는 조건을 조작적 조건화라고 하는데, 유기체가 행하는 조작 행동은 결과에 따라 증가하기도 하고 감소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어떤 반응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이 조작적 조건화인 것이다.

 

스키너는 유기체가 어떤 행동을 한 결과가 스스로 유리하면 그 행동을 더 자주 하게 된다고 보았다. 이때 그 행동의 결과로 주어진 것으로 행동의 빈도를 높이는 자극을 강화인이라고 하는데, 이런 강화인은 일차적 강화인과 이차적 강화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일차적 강화인은 유기체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강화인이다. 예를 들면 음식이나 물과 같은 것이 되겠는데, 당장 배고픈 유기체에 음식으로 만족을 주는 것으로써 바로 다음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에 이차적 강화인은 유기체의 행동을 바로 증가시키지 못한다. 하지만 일차적 강화인과 연합하여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쿠폰이나 토큰 등이 이에 해당한다. , 쿠폰이나 토큰으로도 유기체를 강화할 수 있지만 그것은 유기체를 직접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일차적 강화인과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강화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차적 강화인으로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돈이다. 돈은 여러 종류의 일차적 강화인과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화된 강화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