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심리학의 연구방법론
심리학에도 양적연구방법과 질적연구방법 두 가지를 모두 사용한다. 양적연구방법은 연구 대상의 특성을 계랑화, 수치화하기 용이한 경우가 많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연구 방법에 알맞은 사례로는 지능 연구, 반응시간 연구 등이 있다. 양적연구방법은 통계학의 지식들을 사용하여 연구 대상의 특성을 예측하고 기술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질적연구방법으로는 주로 임상가들에게 사용된다.
심리학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양적 연구방법론에는 경로분석, 요인분석, 문항반응이론(IRT), 구조방정식모형, 다층모형 등이 있다. 양적 연구방법론의 가장 큰 장점은 일반화하기에 용이하다는 것이다. 질적연구방법은 소수의 사례를 쉽게 분석하는 것이 주된 목적으로, 임상가들에 의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질문지 작성, 상담 등의 방법을 주로 사용하며 내담자의 심리적 상태를 깊이 있게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심리학이 사용하는 방법의 과학성은 심리학을 경험과학, 사회과학 만들어 주는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2) 심리학의 분야
① 기초심리학
과학자형 모델로 대표되는 기초 심리학은 기본적인 기초와 이론을 토대로 인간의 심리를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 초점을 두는 분야이다. 주로 생리심리학, 학습 심리학, 사회심리학, 인지 심리학, 신경심리학, 발달심리학 등이 포함되며 이는 귀납적 사고를 주로 사용하는 자연과학과는 달리 연역적 사고도 이용한다. 한편 이러한 주요한 과학자형 모델에는 구성개념을 전제로 하는 심리통계, 심리측정 및 검사 등의 수학적 접근이 포함된다.
② 응용심리학
전문가형 모델로 대표되는 응용심리학은 심리학의 실제 현장 장면의 적용을 목표로 적용 원리와 방법을 연구한다. 심리학의 방법과 결과를 실제 문제나 생활에 응용하려는 학문으로 심리학의 한 분야이다. 교육심리학, 건강심리학, 임상심리학, 여성 심리학, 범죄심리학, 산업심리학 등이 이에 포함된다.
③ 상담심리학
정신적 문제를 가진 사람들을 진단하거나 심리적인 부담을 지원하고 자신의 문제를 극복하고 전보다 더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가진 심리학 분야이다. 상담심리학 교육과정에는 검증된 상담이론을 비롯한 발달 심리학, 성격 심리학 등 다양한 이론 교육과 개인/집단 상담 기법, 심리진단/평가, 사례 분석 등 다양한 실습 교육이 있다.
약물 처방을 가진 정신과 의사와 비교해서는 상담심리사는 약물심리학, 건강심리학, 생리심리학 등을 고려해 다양한 기술, 치료기법을 통해 환자에게 도움을 준다. 특정하 된 상황을 고려하여 정신건강의 문제에 따라 이를 개선을 위해 약물치료와 상담 치료가 병행되거나 약물치료가 점점 중단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심리학처럼 심리검사 및 심리평가뿐만 아니라 심리연구를 포함하는 과학자-전문가 모델을 전제로 한다. 현재 상담심리학은 기관, 기업, 학교 등 각 영역에서 다양하게 활동 중이다.
④ 임상심리학
임상심리학은 정신건강에 관한 정신적 이슈가 다루질 필요성에서 이를 대상으로 하는 심리학이다. 사회학, 인문학 등 가까운 학문에서 연구된 이론을 부적응적 문제, 진단 치료에 적용하는 학문이기도 하다. 심리검사 및 심리평가뿐만 아니라 심리연구를 포함하는 과학자-전문가 모델이 전개된다. 취약성-스트레스 모델 등 통합적으로 의학적 조건과 임상 과정 및 행동주의심리학 또는 인지주의 등 여러 심리학적 접근을 다룬다.
⑤ 그 외 심리학
재난 심리학(재난 재해 심리학, 재난 재해 안전학), 군사 심리학, 군중심리학(사회 심리학의 한 분야로 군중의 독특한 행동 양식이나 정신 상태를 연구하는 학문), 환경심리학(인간과 외부 세계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이다. 인간이 환경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그리고 환경이 인간의 경험과 행동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강조), 심리 역사학, 의상 심리학, 감정, 생물심리학, 비교심리학, 비판 심리학, 해방심리학, 수리심리학, 스포츠심리학, 긍정심리학 등등
⑥ 주요 심리학
심리학의 아버지의 빌헬름 분트 / 망각곡선 연구의 헤르만 에빙하우스 / 진화심리학의 시조, 감정표현 연구의 선구자의 찰스 다윈 / 심리측정의 선구자의 프랜시스 골턴 / 미국 심리측정학의 대가의 제임스 카텔 / 지능검사 고안자의 비네 / 교육심리학, 심리측정의 대가의 손다이크 / 게슈탈트 심리학자, 인지심리학자, 사회심리학자의 르윈 / 정신분석의 창시자,의식-무의식 개념의 지그문트 프로이트 / 집단무의식의 카를 융 / 발달 이론의 대부, 지능을 수식으로 표현의 장 피아제 / 보상 처벌이론, 처벌 금지 법안의 벌루스 스키너 / 논문 "제 정신으로 정신병원에 들어가기(On Being Sane in Insane Places)" 의 데이비드 로젠한 / 밀그램 실험, 권위에의 복정의 스탠리 밀그램 / 스탠퍼드 감옥 실험, 루시퍼 이펙트의 필립 짐바르도 / 욕구 제단계 이론의 에이브러햄 매슬로 / 인본주의 심리학의 아버지의 칼 로저스 / 잠재학습 연구의 에드워드 톨먼 / 언어 심리학자의 노엄 촘스키 / 인지심리학의 초창기 공헌자의 율릭 나이서 / 언어로 사회-문화적 맥락에 관련지어 설명의 레프 세메노비치 비고츠키 / 의사결정 과정에서 일어나는 편향과 추단법에 대한 연구로 노벨상 수상의 대니얼 카너먼, 아모스 트버스키 / 뉴런 연구의 선구자의 라몬 이 카할 / 브로카 영역, 베르니케 영역의 발견의 폴 브로카, 베르니케 / 헵의 법칙 발견의 도널드 헵 / 각인 현상의 발견자의 콘라드 로렌츠 /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의 에릭 에릭슨 등등
'내가관심있는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주의 주요이론 ① (0) | 2024.05.05 |
---|---|
행태주의심리학 & 행동주의심리학 (0) | 2024.05.05 |
프로이트 ‘정신분석심리학’ ② (0) | 2024.05.04 |
프로이트 '정신분석 심리학' ① (0) | 2024.05.04 |
프로이트 (0) | 2024.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