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8

알프레드 아들러 모든 고민은 인간관계에서 비롯된다. 오스트리아 빈 출신으로 의사, 심리학자, 정신의학자, 사회주의자였다. 개인심리학을 창시한 심리학자로서 현대 상담학의 기초를 다진 정신의학자로 꼽히는 인물이다.    프로이트의 원인론적 분석에서 탈피하여 목적론적 분석을 기반으로 개인심리학을 세웠다. 이것은 신프로이트 학파에 큰 영향을 끼쳤고, 그와 입장을 같이하는 흐름을 ‘아들리안 학파’ 라고도 부른다. 오스트리아의 빈 근교 펜칭의 유대인 상인 가정에서 4남 2녀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구루병으로 4살이 되어서야 걸음마를 뗐을 정도로 아팠으며 수레에 2번이나 치인 적이 있었고 폐렴과 홍역으로 죽을 고비를 넘긴 적도 있었다. 빈 대학교 의학부 한참 선배이기도 한 프로이트의 강연에 빠졌고, 그의 문하에서 빈 정신분석.. 2024. 5. 6.
인본주의심리학 & 인지주의심리학 1) 인본주의심리학  인본주의심리학(Humanistic psychology)은 심리학의 한 분야로 인간중심치료를 개발한 미국의 심리학자로서 칼 램섬 로저스(Carl Ransom Rogers)는 1940년대에 인간중심 치료를 개발하여 인간성 심리학을 개척했다. 로저스가 창시한 인간 중심 치료(PCT, Person-centered therapy)는 기존의 정신병원에서의 명령적 지시적 요법이 아닌, 비지시적 요법으로서, 상담을 위주로 하여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오늘날 흔히 미국 영화에서 나오는 심리치료사와 환자가 자주 만나서 이야기하는 방식의 치료가 바로 인간 중심 치료이며, 이를 1940년대에 창시한 것이 칼 로저스다. 1902년 1월 8일 시카고 외곽 오크 파크에서 6남매 중 넷째로 태어났다. 위스콘.. 2024. 5. 6.
행동주의 주요이론 ② 1. 강화   강화는 어떤 행동을 한 뒤에 생명체가 원하는 자극을 제공하여 행동의 빈도수를 높이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선호자극의 제공 뿐 아니라 혐오자극의 제거로도 생명체를 강화시 킬 수 있는데, 선호자극의 제공으로 행동의 빈도수를 높이는 강화를 정적강화라고 하고 혐오자극의 제거로 행동의 빈도수를 높이는 강화를 부적강화라고 한다.정적강화(Positive Reinforcement)는 선호자극의 제공으로 생명체를 강화시킨다. 예를 들면 부모가 자녀가 스스로 과제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 스스로 과제 할 때마다 칭찬을 해주거나 사탕을 하나씩 주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는 스스로 과제 하는 행동의 빈도수를 높이기 위해 칭찬 또는 사탕이라는 선호자극을 제공함으로써 자녀를 강화시키는 것이다. 반면에 부적강화(.. 2024. 5. 5.
행동주의 주요이론 ① ① 이반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古典的 條件 形成 러시아의 생리학자 이반 파블로프가 개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이를 처음으로 증명하였다. 그의 이런 연구는 마음이란 물질이 아니기에 과학적 연구대상이 될 수 없다고 본 19세기 후반 학계의 지배적 사고를 바꾸어 놓았고, 심리학이 철학에서 분화되어 독립적인 학문적 체계를 구축하는데 일조하였으며, 행동주의 심리학에도 영향을 주었다. 특정 반응을 끌어내지 못하던 자극이(중성 자극) 그 반응을 무조건적으로 끌어내는 자극(무조건자극)과 반복적으로 연합되면서 그 반응을 유발하게끔 하는 과정을 말한다. 특정 자극에 대해 무의식적으로 반응하는 현상 중에서 그에 상응한 반응이 선천적인 본능과는 관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을 통해 조건반사 반응이 새롭게 형성될 수 있다는 .. 2024. 5. 5.